Top Story

연구기획센터

1. 제18회 청람교육포럼 개최 - 미래 역량 신장과 맞춤형 교육 -

한국교원대학교(총장 차우규) 교육연구원은 ‘미래 역량 신장과 맞춤형 교육’이라는 주제로 제18회 청람교육포럼을 8월 22일(목) 14시부터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개최하였다.

이번 청람교육포럼에서는 ‘미래 역량 신장과 맞춤형 교육’이라는 큰 주제하에, 학교교육에서 맞춤형 교수학습 방안 탐색,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을 위한 비판적 성찰과 새로운 접근, 동시분류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학의 융합전공 현황 분석, 직업세계에서의 AI활용 사례와 직무능력개발의 시사점 등을 세부주제로 삼아 깊이 있는 발표와 토론이 이루어졌다.

제18회를 맞이한 청람교육포럼은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공동주최하는 학술행사로 올해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주관하여 개최하였다.

본 포럼은 각 기관별로 선정한 주요 교육정책 현안에 대한 발표 및 토론의 과정을 통하여 여러 현안을 넘어 우리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되었다.

(문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연구기획센터 강인숙 043-230-3261)

자료집 다운로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홈페이지-청람교육포럼-포럼자료집
[https://ier.knue.ac.kr/www/main])

사진

2. '제3회 흥덕쿵 미호강 환경교육 축제''환경 사랑, 교육 사랑 미호강에 큰잔치 열렸네!'
     미호강 줄기따라 흥겨움, 재미, 환경교육 체험!, 축제장이 열린다.

미호강 줄기 높푸른 가을 하늘을 따라 ‘흥덕쿵 미호강 환경교육 축제 ’가 한국교원대학교와 흥덕쿵미호강환경교육축제주민추진위원회 주관으로 열린다. 재활용 난타 ‘아작’의 흥겨운 무대로 막을 여는 이번 축제는 미호강 주변의 환경보호를 주제로 다채로운 공연 무대와 환경교육 채험 부스 17개가 준비되었다. 체험은 모두 무료로 진행되는 교육기부 축제이다.

흥겨움과 놀이, 환경교육 체험으로 한아름 가득한 선물을 안고 청주시 주민들을 맞아하기 위해 흥덕쿵 미호강 축제의 문을 연다.

제3회 흥덕쿵 미호강 환경교육 축제 개최, 지역 주민들과 함께하는 환경 보호의 장

한국교원대학교(총장 차우규)는 개교 40주년을 기념하고 국립대학육성사업의 일환으로 흥덕쿵미호강환경교육축제주민추진위원회(후원회장 조흥연)와 공동으로 주관하는 '제3회 흥덕쿵 미호강 환경교육 축제'를 9월 28일(토)부터 9월 29일(일)까지 한국교원대 미래도서관 뒤 잔디뜰에서 개최한다.
'흥덕쿵 미호강 축제'는 올해로 3회째를 맞이하는 지역사회의 대표적인 환경교육 축제이다. 작년에는 강내와 오송지역의 수해로 인해 큰 피해를 입은 지역 주민들을 위로하는 행사로 진행되었으며, 2024년에는 '환경교육'을 주제로 하여 미호강 줄기의 마을들과 함께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는 뜻깊은 자리를 마련하게 되었다.

주민과 함께하는 다채로운 공연 프로그램

축제의 첫날, 힐링앙상블의 '미호강 환경축제' 주제로 여는 마당 연주를 시작으로, 재활용 타악기 퍼포먼스 그룹 '아작'의 화려한 공연이 개막을 장식할 예정이다. 이어 강내면 주민자치위원회의 난타와 부채춤 공연, 오송과 운천동 어린이들의 댄스공연, 한국교원대 D&D 팀의 멋진 댄스공연도 펼쳐진다. 또한, 마술공연과 비누방울 공연이 축제에 참여한 모든 이들에게 즐거운 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

환경교육 체험 활동으로 탄소중립 실천!

2024년 흥덕쿵 미호강 축제의 주제는 '환경보호 교육축제'로, 탄소중립 실천과 미호강 보호, 지역사회와 지구를 지키기 위한 다양한 환경보호 캠페인을 펼칠 예정이다. 축제에 참여하는 시민들과 학생들은 총 17개의 무료 환경체험 부스를 통해 다양한 환경교육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이날 준비된 체험활동으로는 한국교원대의 환경문화 이해놀이, 환경 실천 보드게임, 충청북도교육청의 환경교육 체험 활동, 미호종개 인형 가방걸이 만들기, 미호강 갈대 호드기 체험, 폐목재를 활용한 차 받침 만들기 등 풍성한 교육적 체험이 기다리고 있다. 이외에도 비누방울 놀이, 한국전통놀이 체험, 환경퀴즈 맞히기와 같은 놀이 활동들이 한가위 선물처럼 다양한 즐거움을 선사할 것이다.

기부와 봉사로 함께하는 축제의 장

㈜진로는 축제 참가자 전원에게 식수를 무료로 제공할 예정이며, 한국부인회충청지부(임은혁 회장)는 모두에게 따뜻한 주먹밥을 제공한다. 또한, 충청에너지서비스에서는 기부금(300만원)을 제공하여 축제의 구성을 풍부하게 하였다. 이번 축제는 주민들의 교육 체험에 대한 갈망을 반영하여 한국교원대 교육연구원(원장 김현진)이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의미로 다양한 체험형 교육 콘텐츠와 축제의 장을 제공한다. 이에 동참한 해사랑김, 깨끗한 나라, 청주농원, K-BIO 등 미호강 주변 기업들이 생산품을 기부하며 축제 참가자들에게 행운의 선물로 제공될 예정이다.

축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흥덕쿵 미호강 환경축제 블로그(https://m.blog.naver.com/mhorive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문의: 교육연구원 홍민기 043-230-3259)

사진

3. 한국교원대학교 미래교육 국제 컨퍼런스 개최

한국교원대학교(총장 차우규)는 개교 40주념을 기념하여 10월 24일(목) 한국교원대학교 청람아트홀에서 「미래교육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이번 컨퍼런스는 “디지털 전환 시대, 교사교육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방향”을 주제로 국내·외 연사 초청 및 에듀테크 기업과의 연계를 통해 개최한다.

온-오프라인 동시 송출을 통해 교사교육에 관심있는 많은 관계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했고, 실시간 동시통역을 진행하여 참여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컨퍼런스로 진행된다.

본 행사는 국내 교사교육 정책과 교사교육의 동향, 유럽, 미국, 동아시아 교사교육의 동향을 주제로 한 주제 발표 및 토크콘서트와 포스터 세션 발표 및 시상식이 진행된다.

행사장 야외에 준비된 체험활동으로는 한국교원대 에듀테크소프트랩의 후원으로 에듀테크 기업의 부스 체험과 동시에 포스터 세션 발표 관람이 가능하다.

김현진 교육연구원장은 “「미래교육 국제 컨퍼런스」를 통해 개교 40주년을 기념하여 한국교원대학교가 교사교육 및 교육 연구의 허브로서 해외 대학과 학술교류 및 네트워킹을 구축하고, ‘교사교육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의미를 담고자 하였다. 이를통해 참여하신 모든분들이 교사교육 및 교육연구의 발자취와 미래에 의미를 공유하고 미래 연구와 교육에 기여하기 바란다.”라고 밝혔다.

문의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연구기획센터 홍민기 043-230-3259

사진

[개교 40주년 기념 -미래교육 국제 컨퍼런스- 포스터]

4. 제16회 예비교사 우수 모의수업 경진대회 & 제2회 KNUE 수업 비평 공모전 시상식 개최

한국교원대학교(총장 차우규) 교육연구원은 11월 15일(금) 11시, 국립대학육성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던 제16회 예비교사 우수 모의수업 경진대회와 제2회 KNUE 수업 비평 공모전 수상자를 대상으로 시상식을 개최하였다.

이번 모의수업 경진대회는 교육 환경 변화에 대비하기 위하여 실제 학교와 동일한 수업 구성과 수업 실연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교육 전문성 역량을 극대화할 목적으로 개최하였고, 수업 비평 공모전은 수업 현장에서 발굴된 우수 수업 사례 동영상을 분석, 비평하는 과정을 통하여 재학생들에게 수업을 바라보는 안목을 신장시키고 예비교사로서의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개최하였다.

모의수업 경진대회 대상은 엄호용(미술교육과) 학생이 수상하였고, 최우수상은 김세진(초등교육과), 심우림(초등교육과), 곽연웅(수학교육과), 곽영경(체육교육과) 학생이 수상하였으며, 우수상은 서혜원(초등교육과), 윤지수(초등교육과), 정지환(초등교육과), 김민지(윤리교육과), 신지혜(유아교육과) 학생이 각각 수상하였다.

수업 비평 공모전 최우수상은 조병준(지구과학교육과) 학생이 수상하였고, 우수상은 정지환(초등교육과), 한승윤(영어교육과), 강예지(초등교육과) 학생이 수상하였으며, 장려상은 정희원(초등교육과), 이석현(영어교육과), 김성현(영어교육과), 이가영(초등교육과), 권소희(컴퓨터교육과) 학생이 각각 수상하였다.

2025년도에도 제 17회 예비교사 우수 모의수업 경진대회와 제3회 KNUE 수업 수업 비평 공모전이 개최될 예정이며 재학생 누구나 참여가능하다.

문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강인숙, 최상호 (043)230-3261, 3271

사진

[예비교사 우수 모의수업경진대회 & KNUE 수업 비평 공모전 시상식]

5. 제15회 교사의 창의적 수업사례 공모전 시상식 및 사례발표 워크숍 개최

한국교원대학교(총장 차우규)는 국립대학육성사업의 일환으로 청주교육대학교(총장 한대희)와 공동으로 『제15회 교사의 창의적 수업사례 공모전』 시상식 및 수업사례 발표 워크숍을 12월 21일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에서 개최하였다.

교사의 창의적 수업사례 공모전은 2010년부터 한국교원대학교와 청주교육대학교가 공동으로 추진해 왔다. 이 공모전은 일회성 수업 공개나 수업 연구 대회가 아닌, 수업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실천해 온 교사들의 창의적 수업사례를 발굴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작년부터는 유치부문 공모를 신설하여, 누리교육부터 초등교육, 중등교육까지 아우르는 유일한 수업사례 공모전으로 발전하였다.

2026년도에도 제16회 교사의 창의적 수업사례 공모전이 개최될 예정이며, 현직 유,초,중등 교사라면 누구나 참여가능하다.(4~5월 중 공고 예정)

교사의 창의적 수업사례 공모전의 수상사례집은 한국교원대학교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제15회 교사의 창의적 수업사례 공모전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

▲유치부문 대상 신소연(광주 화운유치원) 교사, ▲최우수상 신미경(경기 용인여람유치원), 신영숙(전북 전주새뜰유치원), 한지혜(충북 율봉유치원) 교사, ▲우수상 문인정(대구한실초등학교병설유치원), 한예림(전북 전주새뜰유치원), 권혜원(경북 계당초등학교병설유치원), 최혜림(세종 글벗유치원) 교사

▲초등부문 대상 서영인(부산 용문초등학교) 교사, ▲최우수상 고윤정(대구노전초등학교), 김현수(부산 혜원초등학교), 성영미(대구대진초등학교), 이지은(서울돈암초등학교) 교사, ▲우수상 장일령(광주장원초등학교), 배소연(강원 삼척초등학교), 김유진(경기 소일초등학교), 이정환, 서우연(경북 유림초등학교, 전남 순천북초등학교-팀티칭 수업) 교사

▲중등부문 대상은 이찬복(경기 안산부곡중학교) 교사, ▲최우수상 김동은(서울 번동중학교), 노현진(경북 구미여자고등학교), 임하정(서울 송정중학교) 교사, ▲우수상 정인희(대전신계중학교), 박민지(서울 문정중학교), 김은희(울산외국어고등학교), 최지수(충남 천안공업고등학교) 교사

문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연구기획센터 강인숙 (043)230-3261

국제학술지 “Innovation and Education”

1. 학술지 소개

Innovation and Education은 미래 교육 전반을 다루는 한국교원대학교의 전문적인 국제 학술지이다. 주요 분야로는 ‘Advanced in Theories of Education’, ‘Digital Education’, ‘STEM and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Mathematics) education’, ‘Innovation and Higher Education’, ‘Innovation and Teaching Education’, ‘Innovation and Lifelong learning’, ‘Advanced in Teaching Practices’의 7가지 주제로 구분된다.

주제 설명
Advanced in Theories of Education 교육 이론 전반을 다루는 주제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과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 사회가 AI 시대에 접어들면서 나타난 변화에 주목한다. 예를 들면, 머신러닝과 같은 새로운 도구를 교육학에서 어떻게 이해하고 사용해야 하는지에 관한 논문이 수록된다.
Digital Education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육을 다루는 주제이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 다양한 학습 도구에 집중한 논문이 수록된다. 이러닝과 대규모 공개 온라인 강좌(MOOC),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확장현실(XR), 사물인터넷(IoT), 로봇 등 다양한 내용을 다룬다.
STEM and STEAM education 과학, 기술, 공학, 수학 및 예술 교육에 관한 다학제적 연구를 다루는 주제이다. 융합 교육에 관한 학술논문이 이 주제에 해당한다.
Innovation and Higher Education 고등교육에 관한 내용을 다루는 주제이다. 학부나 대학원에 관한 대학 교육에 관한 논문이 수록된다. 대학교육과 불평등, 세계화, 정책과 대학 교육, 교수-학생 문제 등의 내용을 다룬다.
Innovation and Teaching Education 교사 교육에 관한 내용을 다루는 주제이다. 교사 역량 강화 및 교수법 개발에 관한 논문이 수록된다. 예비 및 현직 교사를 위한 혁신적 교수법, 이론과 실천을 연결하는 내용을 다룬다.
Innovation and Lifelong learning 평생 교육에 관한 논문을 다루는 주제이다. 성인 학습, 직업 교육, 지역사회 연계 학습 등의 내용을 다룬다.
Advanced in Teaching Practices 학습 촉진자로서 교사의 역할을 연구하며, 학습자 중심 교육에 관한 전반을 다룬다.

[▲INED의 주제 소개]

2024년에는 세계 곳곳의 학자들이 투고하여, 총 9편의 논문이 투고, 심사되었다. 이들 중, 6편의 논문이 발간되었으며, 웹사이트에서 무료로 확인할 수 있다.

2. 학술지 발간 증편

2024년에는 학술지 발간 횟수가 1회에서 2회로 증편되었다. 또한, 학술지 Innovation and Education은 정식 발간되기 전에도 온라인 발행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연구자들의 출판을 위해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하면서, 논문 투고에서 출판까지의 소요 시간이 대폭 줄었다. 2025년에도 논문 심사료와 게재료가 무료로 지원된다. 학계의 전문가들과 논의의 장을 열고, 자신의 연구를 세계에 알릴 수 있도록 무료로 논문을 게재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발행호 제목 저자
6권 1호 Game-based science simulations to support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Rachel Sarah Sheffield, Rekha Bhan Koul, & Craig Sims
Exploring the Lived Experiences of African International Students in Graduate Education in Korea Kingsley Kofi Boachie & Youngsun Kwak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of Competency of Digital Age Teaching (SCoDAT) for Preservice Teachers Nam-Hwa Kang, Jin Eun Yoo, & Hyeong Gwan Kim
6권 2호 Editorial Editor-In-Chief, (Nam-Hwa Kang)
Creating a Veteran-friendly Engineering Program through Triadic Approaches: Asset-based Teaching, Mentoring, and Evaluation Jae Hoon Lim, Jerry Lynn Dahlberg, & Yi Wang
Digital Divide and its Implications for Education in the Post-COVID-19 Era in Sub-Saharan Africa Arsene Mouongue Kelly & Pascal Ndyanabo Rutazihana
Reflecting on the Competence of Entrepreneurs using Entrecomp, AI and Narratives People Know and Love Kathryn Penaluna & Paul Ranson

[▲2024년 INED에서 발간한 논문들]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