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속시설

황새생태연구원

1. 일본에서 황새 알 도입 25년만에 일본에 황새 알 첫 수출

황새생태연구원은 1999년 일본 타마동물공원으로부터 황새 알 4개를 들여와 인공부화 및 인공육추를 통해 청출과 어람을 얻었고 이들 자손 30개체를 번식하여 우리나라 황새 개체군 형성에 기여하였다. 그로부터 25년이 지난 2024년 5월 28일 우리원에서 번식한 황새 알 2개를 일본에 보내 그 중 1개체가 증식되었다.

#

[일본으로 알 수출 및 부화된 유조]

2. 청주 황새 공존 협의체 발족 및 방사 황새 관리

청주시 문의면 괴곡리에 둥지를 튼 번식쌍이 올해 4개체를 자연증식 하였다. 그러나 둥지탑 앞에 단계적방사장이 건설되어 크레인 접근이 불가한 관계로 가락지 작업을 하지 못한 채 이소되었다. 문의면 주민의 요청으로, 청주시 야생 황새를 보호 관리하기 위한 ‘청주 황새 공존 협의체(황새생태연구원, 청주시청, 국립생태원 조류팀, 이시도르연구소, 괴곡리주민회)’가 7.17. 발족되었다. 주민과 우리원이 협력하여 번식둥지탑 뒤쪽 언덕을 깎아 도로를 조성하여 둥지탑에 크레인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청주 황새 공존 협의체 발족 및 번식둥지탑 문제 해결]

3. 국내 절멸 먹황새 56년만에 복원 개시

황새생태연구원과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조류팀이 협력하여, 국내 먹황새 절멸 56년만에 복원을 위해 일본에서 먹황새 6개체를 도입하였다. 이번 도입은 2020년에 우리원과 타마동물공원 간 체결한 ‘한일 먹황새 및 황새 보존에 관한 양해각서’에 기반하여, 황새 알과 먹황새를 맞교환 조건으로 이루어졌다. 먹황새는 국립생태원 조류팀이 KT&G(주) 지원금으로 일본을 직접 방문하여 12.10. 국내로 반입하였다. ‘경북 먹황새 복원협의체’를 발족하여(12.18),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먹황새 복원이 개시될 전망이다.

#

[일본에서 먹황새 유조 도입, ‘경북 먹황새 복원협의체’ 발족식]

4. (주)현대이지웰과 협약 체결 및 황새 보존 활동

한국교원대학교와 (주)현대이지웰은 12월 26일 “ESG 협력 사업, 멸종위기종보전 및 생물다양성 증진, 인절 물적 자원 교류”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황새생태연구원은 현대이지웰로부터 기부금을 기탁받아, 청주시 문의면에 황새 둥지탑을 건설하고 황새 먹이터인 무논습지를 조성했다.

#

[(주)현대이지웰 지원으로 조성된 황새 둥지탑 및 무논 습지]

5. 전국 황새 모니터링 교류회

2024년 [전국황새분포모니터링 및 단계적 방사장 관리지원 사업]의 활동 실적으로 제5회 전국황새모니터링 교류회를 2024년 9월 7일 예산황새공원에서 개최하였다. 30여명의 전국황새모니터링 조사자가 참여하였고, 각 지역의 다양한 황새 번식 사례를 소개하고, 위협요인, 교란 요인 등을 해결하기 위한 협의를 진행하였다. 강원도, 평택시, 아산시, 새만금 지역 황새 관찰 사례를 발표하였고, 2024년 전국황새번식현황 발표 및 황새 장기 모니터링 결과분석도 발표되었다.

#

6. 학술지 게재 및 학술대회 발표 실적

황새생태연구원 청람황새공원부 2024년 학술 실적은 다음과 같다. (1) 2024년 12월 Korean J. Ornithology에 ‘Mitochondrial DNA variation in Black Storks (Ciconia nigra) of the Palearctic Region’을 게재하였다(저자 김진용제1, 어수형, 최창용, 성하철, 황보연, 김동원, 문성채, 윤종민교신). (2) 제79회 한국생물과학협회 정기학술대회(24.7.31.-8.2)에서 ‘A Case Study on the Pair Formation Process of an Artificially Formed Breeding Pair of Stork Ciconia boyciana(문성채, 최다은, 강예지, 김용식, 강석일, 이경택)’를 포스터 발표하였다.

예산황새공원부 2024년 학술 실적은 다음과 같다. (1) 2024년 8월 Bird Conservation International에 ‘Demography, habitat use, and movement patterns of founder Oriental Storks Ciconia boyciana in South Korea’ 을 게재하였다(저자 하동수제1, 김수경, 윤현주, 남형규, 신용운, 윤종민교신). (2) 2024년 11월 (사)한국조류학회에서 ‘재도입 황새(Ciconia boyciana)의 번식현황 분석(김수경, 하동수, 박상림, 신용운)’을 구두로 발표하였다. 이 자료는 2016년부터 2024년까지의 천연기념물 황새 야생 번식쌍의 번식현황을 분석한 결과로서 황새 재도입 사업의 진행 상황과 문제점 등을 제시하였다. (3) 2024는 5월 한국생태학회 학술발표대회에서 ‘재도입 황새(Ciconia boyciana)의 서식환경 특성에 따른 섭식행동 분석(고나영, 김수경, 하동수, 어수형)’ 제목으로 포스터 발표를 진행했다. 야생에 적응 중인 황새의 섭식행동을 다양하게 세분화된 서식지에 따라 분석하여 선호 서식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들 학술 실적물은 2024년 [예산황새공원 사육 연구 위수탁사업] 및 [전국황새분포모니터링 및 단계적 방사장 관리지원 사업] 실적으로 제출하였다.

#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