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원대학교 학교경영연구소는 한국교육행정학회, 한국학교컨설팅협회, 한국교원대학교 학교경영연구소가 공동주최하는 2024년 추계 연합학술포럼을 2024년 10월 25일 한국교원대학교 미래도서관 소공연장에서 개최하였다. ‘학생맞춤통합지원사업 도입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와 개선 방향’을 주제로 열린 2024년 추계 연합학술포럼은 여러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물을 공유하는 장을 마련한다는 취지를 갖는다.
한국교육행정학회장인 김도기(한국교원대) 교수님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연합학술포럼은 임선빈(한국교육개발원)의 사회 아래 현장 발표로 진행되었다. ‘학생맞춤통합지원사업 추진 과정에서 교육지원청이 겪는 어려움 분석’,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중등학교 학생맞춤통합지원사업의 개선 필요 영역 분석’, ‘초등학교 학생맞춤통합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개선 과제 탐색’ 등 총 8명의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 결과물을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발표 이외에도 전체 참가자들의 열띤 자유토론이 이어진 추계 연합학술포럼은 약 2시간 동안 진행되었으며 연구방법론에 기반하여 학생맞춤통합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기관들의 어려움을 분석하고 개선방향 제안을 위한 심도깊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행사관련 사진]
한국교원대학교 학교경영연구소는 교원정책 연구를 위한 네트워크 분석 세미나를 2024년 12월 17일 한국교원대학교 인문과학관 327호에서 개최하였다. ‘교육정책 참여자 간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주제로 열린 교원정책 연구를 위한 네트워크 분석 세미나는 교원정책 연구에 적용 가능한 교육정책 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을 파악할 수 있는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는 데 목적이 있다.
이번 교원정책 연구를 위한 네트워크 분석 세미나는 채송화(한국교원대학교 학교경영연구소 연구원)의 현장 강의로 진행되었다. ‘정책네트워크의 등장배경’, ‘정책네트워크의 개념’, ‘정책네트워크의 유형’, ‘정책네트워크의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채송화(2024)의 박사학위논문인 자율형 사립고 정책네트워크 분석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적용 사례를 살펴보았다. 강의 이외에도 전체 참여자들의 열띤 질의응답이 이어진 이번 세미나는 약 1시간 30분 동안 진행되었다.
[행사관련 사진]
한국교원대학교 학교경영연구소는 한국교육행정학회 및 학교경영연구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2024년 동계 연합학술포럼을 2024년 12월 10일 한국교원대 인문과학관 114호에서 개최하였다. ‘교원 및 교육 정책 연구’를 주제로 열린 2024년 동계 연합학술포럼은 이를 공동주최하는 2개 기관 소속 연구자 간 연대를 강화하며 대학원에서 수학하는 교원과 예비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물을 공유하는 장을 마련한다는 취지를 갖는다.
이번 연합학술포럼은 학교경영연구소장인 이재덕(한국교원대) 교수님의 사회 아래 현장 발표로 진행되었다. ‘소규모 교육지원청 현황 진단 및 개선방안 연구-충남 지역의 청양교육지원청 중심으로-’, ‘서울지역 초등교사의 기초학력 책임제도 실행도 영향 요인 분석’, ‘바다초등학교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등 총 3명의 발표자들이 자신의 연구 결과물을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발표 이외에도 전체 참가자들의 열띤 자유토론이 이어진 동계 연합학술포럼은 약 3시간 동안 진행되었으며 변화와 혁신을 통해 미래를 준비하는 학교경영자의 역할과 학교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행사관련 사진]
학교경영연구소(소장 이재덕)는 학술지 「2024 학교경영실천사례연구」를 2024년 12월 31일에 발간하였다.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의 형성 및 운영과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포천시 중등 신규교사의 조기 관외전보 사례 탐색’을 주제로 발간된 이번 학술지는 2024년 동계 연합학술포럼에서 발표한 연구 결과물의 현장 토론 내용 등을 반영하여 질적 수준을 보완 및 추가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발간한 학술지 10부 중 2부는 기고자에게 배부하였으며, 나머지 8부는 학교경영연구소에 보관하여 향후 교육 및 연구 목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학교경영연구소「2024 학교경영실천사례연구」발간]